공학설계입문 (Elementary design of engineering) 2-0-0-2
미래 공학자로서의 기초적인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공학설계의 의미와 접근 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공학적 설계를 위하여 고려할 문제와 해결 방법들을 학습한다.
공학설계활용 (Application to Elementary Design of Engineering) 2-0-0-2
공학도의 기초적인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공학설계의 의미와 접근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공학적 설계 활용에서 고려 할 문제와 해결방법을 학습한다.
전기회로I, II (Electric Circuits I, II) 3-3-0-0
전기관련학과의 기초학문으로서 교류회론 이론 중 인덕터와 변압기의 기초이론, 3상을 해석하는 기법, 푸리에 급수 및 변환, 회로망 함수 등 전기회로 및 전자회로에 필수가 되는 기초이론 및 정리를학습하는 학문이다.
전자기학I, II (Electric Circuits I, II) 3-3-0-0
전기와 자기의 기초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1학기의 정전계 및 전위의 기본식의 이해를 토대로 Maxwell방정식 중 자계에 관한 식을 다루게 되며 총합적으로 Maxwell방정식을 이해하고 그 물리적 의미와 현상들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게 되어 전기와 자기의 연관성 및 전자파로 이어지는 일련의 현상들을 규명하는 기초원리를 학습한다.
디지털회로설계 (Digital Circuits Design) 3-3-0-0
막 입문한 공학 기술 분야 학생들로 하여금 새롭게 부각되는 디지털 분야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디지털 논리회로의 기초 지식을 제공한다. 부울 대수, DE Morgan의 정리, Karnaugh 맵핑 등의 이론을 학습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가상 실험을 한 후, 이를 실제 디지털 회로 구현을 위한 TTL과 CMOS의 기본 IC 사용하여 구현한다.
디지털시스템설계 (Digital System Design) 3-3-0-0
디지털 논리회로의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F/F을 이해하고, 레지스터와 카운터 및 메모리에 대해 학습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가상 실험을 한 후, 이를 실제 디지털 회로 구현을 위한 TTL과 CMOS의 기본 IC 사용하여 구현한다.
공학수학 (Engineering Mathematics) 3-3-0-0
공학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수학을 학습한다. 내용은 상미분방정식, 라플라스변환 등의 미분방정식 해법과 벡터, 행렬 등의 선형대수와 벡터미적분, 적분정리 등이다.
전기전자수학 (Electrical and Electronics Mathematics) 1-1-0-0
전기전자제어공학과 전공의 2학년 교과목 중 공학수학에서 필요한 부분을 심도있게 학습한다.
프로그래밍언어및실습I,Ⅱ (Programming Language & Practice I,Ⅱ) 3-2-2-0
강의를 통하여 C/C++ 언어를 중심으로 한 컴퓨터 언어의 명령어 체계와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실제 공학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그래밍 실력을 배양한다.
전기회로설계및실험I,Ⅱ (Electric Circuits Design & Experiment I,II) 2-0-2-1
회로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회로를 구성하여 실험하고, 제시된 주제에 대해 팀을 구성하여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
컴퓨터구조 (Computer Architecture) 3-3-0-0
컴퓨터 조직, 설계와 같은 컴퓨터 구조를 설명하며, 컴퓨터 구조는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모듈의 구조와 특성에 관련되어 있고, 또한 사용자의 처리 요구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작용방법에 관련되어있다. 컴퓨터 조직은 하드웨어 소자를 함께 연결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련되고 컴퓨터 설계는 주어진 사양에 맞는 컴퓨터에 대한 하드웨어 개발을 학습한다.
전자회로Ⅰ,Ⅱ (Electronic Circuits Ⅰ,Ⅱ) 3-3-0-0
전기, 전자공학 분야의 회로설계에 사용되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 비선형 소자의 특성을 학습하고, 이들 소자의 동작원리를 이해한다. 또한 이 소자들을 이용하여 구성된 전자회로의 해석법과 설계법을 학습한다.
전자회로설계및실험Ⅰ,Ⅱ (Electronic Circuits Design & Experiment Ⅰ,Ⅱ) 2-0-2-1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 다이오드 등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회로를 구성하여 실험하고, 제시된 주제에 대해 팀을 구성하여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
전기기기I, Ⅱ (Electric Safety I, Ⅱ) 3-3-0-0
기계적 에너지의 상호 변환원리 및 방법들의 기초개념을 통하여 직류기, 동기기, 변압기 및 유동기의 동작원리와 기기의 종류, 특성과 응용 등을 다룬다.
제어공학 (Control Engineering) 3-3-0-0
현대 산업 분야에서 제어 공학만큼 산업 기술의 전문화와 효용성을 유지하면서 발전한 학문을 찾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는 제어시스템을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인력 양성은 필연적이며, 산업 발전을 위한 근간이라 할 수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물리적/전기적 시스템의 모델링, 해석 및 제어계 설계과정 등 자동제어의 전 단계를 교육한다.
제어시스템공학 (Control System Design) 3-3-0-0
현대 산업 분야에서 제어 공학만큼 산업 기술의 전문화와 효용성을 유지하면서 발전한 학문을 찾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는 제어시스템을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인력 양성은 필연적이며, 산업 발전을 위한 근간이라 할 수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선수과목인 제어공학에서 습득한 제어이론을 바탕으로 물리적/전기적 시스템의 모델링, 해석 및 제어계 설계과정 등 자동제어의 전 단계를 교육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 (Microcontrolller) 3-3-0-0
ATmega128의 I/O,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리셋, 외부인터럽트, 타이머/카운터, 와치도그 타이머, 비동기 직렬통신, PWM 기능들을 다루게 되며, 각 기능들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이론(원리, 기능, 사용법) 설명, 시뮬레이션 툴의 활용, 키트를 통한 확인의 3단계의 학습 방법을 취하게 된다. 또한 각 기능의 학습이 완료되면 각 기능의 적용 모델을 기획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시스템설계(Microcontrolller System Design) 3-3-0-0
ATmega128의 기본 기능(I/O, 프로그램 및 데이터 메모리, 외부인터럽트, 타이머/카운터, 비동기 직렬통신)을 복습하고 PWM, ADC, CTC 모드, 입력 캡처 모드, 슬립모드, EEPROM, SPI, TWI, Watchdog, 외부 SRAM, BootLoader 기능들을 새롭게 다룬다. 각 기능들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3단계의 학습 방법을 취하고 있다.
전기재료(Electric Materials) 3-3-0-0
재료과학의 기초개념을 배우는 과목으로 결합과 결정구조, 전기전도, 양자역학개론, 고체물리개론, 소자물리를 학습한다.
전력공학I, Ⅱ(Power Engineering I, Ⅱ) 3-3-0-0
화력, 수력, 원자력 등 각종 발전설비의 구성 기술적인 문제와 특성, 계측설비 및 제어방법과 전력 의 송배전, 전력계통의 계산, 전력조류, 주파수-유효전력제어, 계통의 안정도 등에 대한 기초 이론을 학습한다.
전력전자공학I, Ⅱ(Power Electronics I, Ⅱ) 3-3-0-0
종합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 교과목으로 전력변환의 기본 원리, 종류, 동작 특성을 파악하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같이 진행하여 수업의 이해도를 높인다.
종합설계I, Ⅱ(Capstone design I, Ⅱ) 3-0-0-3
전기공학 프로그램을 통해 습득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하는 전체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종합설계과목이다.
전기설비공학및실습(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ing and Practice) 3-2-2-0
전기 설비와 기호, 전기설비의 기본사항, 간선설계, 조명설비, 동력설비, 수변전 설비, 예비전원설비 등을 학습하며 전기사업법, 전기 설비 기술 기준령 및 기타의 전기관계법규, 안전관리 등을 학습한다.
전기기기응용및실습(Electrical Apparatus Application and Practice) 3-2-2-0
변압기, 직류기, 동기기, 유도기 등 전기기기와 DC서보, AC서보, 시퀜스제어, 싸이리스트를 이용한 전력제어 등 실험에 의한 전기기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각종의 전동기를 제어하는 실험을 한다.
디지털제어시스템(Digital Control Systems) 3-2-2-0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z-변환 기법을 이해하고, z-domain (z-영역)에서의 시스템 이해, 상태변수에 의한 제어시스템 표현 및 설계기법,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안정한 디지털 제어기 설계법을 학습한다. 또한 서보메카니즘과 같은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시뮬레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디지털 제어기를 구성하고 성능을 평가하는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SMPS설계(SMPS Design) 3-3-0-0
취업 전 실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전력전자 제품을 다루어 보아 취업시 업무 적응을 수월할게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에너지소자공학(Principles of energy devices) 3-3-0-0
태양광발전의 단위소자인 태양전지의 원리를 이론 중심으로 학습하고, 양산중인 태양전지 및 개발 중인 태양전지의 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에너지변환공학(Energy Conversion Engineering) 3-3-0-0
에너지 변환은 전기, 기계, 화학, Bio 등 다양한 에너지를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의 에너지로 상호 변환 하는 기술과 이들의 각각 에너지를 다양한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로 구성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전자계 원리를 이용한 전자기 에너지변환기술을 주로 학습한다.
분산전원시스템(Decentralized Power Supply System) 3-3-0-0
분산전원의 물리적 특성 뿐만 아니라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계통해석, 전력품질 분석, 보호협조, 신뢰도 분석, 경제성 분석을 학습하여, 분산전원의 계통연계에 관한 기초를 다진다.
산업제어시스템 (Industrial Control Systems) 3-2-2-0
최근 교육 및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Arduino에 대한 구조와 구동 라이브러리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들을 간략화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인버터 실험(Invter experiment) 3-0-6-0
인버터 설계(인버터 실습)교과목은 SMPS 설계(SMPS 실습)의 연속된 과정으로 인버터 Power부의 소자 및 회로에 대하여 공부를 하고, 인버터 제어부에 대하여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대하여 동작 특성을 이해하며 최종 실험을 통하여 인버터 관련 지식을 습득한다.
현대에너지소자공학 (Modern energy devices) 3-3-0-0
열전소자, 압전소자, 이차전지, 연료전지 등을 이용한 발전, 냉방, 에너지 하베스팅, 에너지 저장 등의 응용 기술에 대한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기술 동향을 파악한다.
현장실습 Ⅰ(Field Training Ⅰ) 4-0-8-0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전공과 관련된 산업현장에서 일정기간 동안 현장실습을 통하여 현장실무 적응능력을 기른다.
현장실습 Ⅲ (Field Training Ⅲ) 2-0-4-0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전공과 관련된 산업현장에서 일정기간 동안 현장실습을 통하여 현장실무 적응능력을 기른다.
산업의료원Ⅰ (Engineering Clinic Ⅰ) 3-1-4-0
산업현장의 애로사항을 팀별 산학 협동으로 연구 및 학습하는 과제 중심형 과목이다.
공학설계입문(Elementray design of engineering)
본 강의는 공학 설계 과정, 설계 과제 예제, 설계 실습으로 크게 나뉜다. 공학 설계 과정에서 설계 기본 개념 및 방법론을 학습하고, 설계 과제 예제에서 설계 방법론의 활용 방법을 습득하여, 설계 실습에서 설계 방법을 체득한다.
전자기학I(Electromagnettics I) 3-3-0-0
전자기학은 전기 및 전자공학분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초 학문으로 전기 및 전자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반드시 이해하여야 할 중요한 과목이다. 전자기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이의 자세한 수학적 해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문제풀이 기법을 습득하여, 전기, 자기로 인하여 생기는 각종 현상들을 여러 법칙들을 통하여 이해하고 전기, 전자공학과 관련된 전공지식 습득을 돕고 이를 응용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전기회로I(Electric Circuits I)
물리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전기회로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전기회로의 기초 개념과 원리를 명확하게 이해하며, 저항 소자로 이루어진 전기회로를 다양한 연립 방정식으로 표현하고 해를 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학적인 기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저장소자인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물리적인 의미를 이해하며,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RLC 회로를 해석한다.
디지털회로설계(Digital System Design)
디지털 논리회로의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F/F을 이해하고, 레지스터와 카운터를 제공한다. 부울 대수, DE Morgan의 정리, Karnaugh 맵핑 등의 이론을 학습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가상 실험을 한 후, 이를 실제 디지털 회로 구현을 위한 TTL과 CMOS의 기본 IC 사용하여 구현한다.
프로그래밍언어및실습I(Programming Language & Practice I)
기본 자료형과 형변환, 표준 입출력, 연산자, 선택문, 반복문, 배열, 함수, 변수영역, 포인터, 구조체와 열거형, 파일처리와 매크로 등의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하고 실전연습을 통하여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한다.
공학수학(Engineering Mathematics) 3-3-0-0
공학에 필요한 제반 수학적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문제에 적용하여 보다 쉽게 모델링 하거나 해를 구하도록 한다.
기초회로설계및실험I(Basic electric circuit design and experiment I) 3-0-2-2
전자공학도로서 필수로 익혀야 할 회로이론과 회로소자의 기본 개념들을 실험을 통하여 학습한다. 기초적인 실험 수행 방법과 기구 조작법을 익히며 회로이론에서 학습한 옴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 테브냉 정리, 노턴 정리를 실험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한다.
기초회로설계및실험II(Basic electric circuit design and experiment II) 3-0-2-2
전자공학도로서 필수로 익혀야 할 회로이론과 회로소자의 기본 개념들을 실험을 통하여 학습한다. 기초적인 실험 수행 방법과 기구 조작법을 익히며 RC회로의 충방전 특성, 교류회로에서의 RLC 소자의 특성과 필터 및 공진회로 등을 구현하고 측정을 통하여 익힌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한다.
전자기학II(Electromagnettics II) 3-3-0-0
전계 및 자계에 관한 현상의 이론적 탐구 및 개념 확립 그리고 전자계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응용분야, 특히 전자유도 Maxwell 방정식에 의한 전자파의 전파원리를 이해하는 학문으로써, 다음 4가지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른다. 1. 전기란 무엇인가?2. 그것들이 어떻게 동작하는가? 3. 그것들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4. 그것들을 어떻게 제어 할 수 있는가?
컴퓨터구조(Computer Architecture) 3-3-0-0
컴퓨터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워를 설계하는 필수적인 과목으로써 디지털 컴퓨터의 하드웨어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AVR RISC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통해서 RISC 구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하여 배우고 실습과 설계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의 활용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한 과목이다.
PLC&네트워크I(PLC&NetworkI) 3-3-0-0
PLC는 Programmable Logic Contoller의 약자로 산업의 생산설비의 운용과 장비의 개발을 담당하는 핵심 필드기기를 현재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PLC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반의 산업설비가 많이 도입되어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주요 응용분야는 자동차,철강,의약품, 석유 화학등을 비롯한 특히 국내 산업에서는 PLC 및 네트워크 엔지니어의 부족으로 많은 기업들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신호및시스템(Signal & System) 3-3-0-0
신호와 시스템을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특징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표현 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콘볼루션, 상관 관계, 푸리에 급수 및 변환, 라플라스 변환,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등을 학습한다. 또한, 신호와 시스템을 이산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이를 위하여 Z변환과 이산 푸리에 급수와 변환을 학습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물리전자(Semiconductor Display Physic Electronics)3-3-0-0
반도체 소자 및 디스플레이를 이해하기위한 반도체에 관한 물리전자 지식을 이해 할 수 있다.강의 주교재는 Solid State Electronic Devices(영문원서)와 부교재로 영어로 제작된 PPT 자료를 활용한다.
모바일프로그래밍I(Mobile Programming I)
Python 언어를 습득하고, Tensor flow 툴 사용법을 익히고, 간단한 기계학습 코드를 실습한다.
확률및랜덤변수(Probability and Random Variables)
확률, 경우의수, 이산랜덤변수, 기초랜덤프로세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공학 연구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 능혁을 부양한다.
자동화네트워크(Automation Network) 3-3-0-0
생산물류자동화와 메카트로닉스의 연계과목으로 응용지향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나아가 현대 자동화의 추세와 발전방향의 이해 그리고 미래 지향적인 엔지니어를 양성한다.
멀티미디어(Multi Media) 3-3-0-0
단위 미디어 기초개념과 응용 장비와 저작도구에 대한 이해와 구성에 대하여 이론학습, 컴퓨터와의 종합적인 접근을 익히고 화상과 음성 데이터의 File 작성 방법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반도체공정공학(Semiconductor Process Engineering) 3-3-0-0
반도체 공정 공학은 물리전자와 반도체 공학을 이수하고 반도체 제조관련 공학적 지식을 습득하기위한 교과목이다. 반도체 공정 공학은 전자부품 제조, 반도체 제조, 디스플레이 제조 및 관련 장치 기업에 필요한 필수적인 교과목으로 영어로 제작된 강의노트를 활용한다.
데이터통신(Data Communication) 3-3-0-0
데이터통신 및 컴퓨터통신의 이해를 목표로 통신시스템과 데이터통신망의 관계, OSI 참조모델, 프로토콜의 정의 등을 학습하고, 교환방식과 에러제어방식, 다중화 및 TCP/IP 통신망에 대하여 학습한다.
FPGA설계(FPGA System Design) 3-2-0-1
Quartus II와 ModelSim을 사용하여 조합논리회로 및 순차회로를 HDL 언어로 표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는 능력을 배운다. DE2 보드를 사용하여 실제 구현된 하드웨어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한다. 최종적으로 간단한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3-3-0-0
무선통신 채널 환경 및 디지털 신호 전송 방법을 강의하고, 무선 셀룰라 시스템을 소개한다. MATLAB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시스템 설계를 위한 무선 셀룰라 시스템의 설계 방법을 강의한다.
디지털영상처리(Digital Image Processing) 3-3-0-0
신호및시스템, 디지털신호처리에 습득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이미지의 형성, 획득 및 처리과정을 이해한다. 화질개선, 영상복원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영상신호처리 기술을 습득한다.
안테나공학(Antenna Engineering) 3-3-0-0
최신 안테나를 설계하는데 필수적인 이론과 기술을 쉽게 이해하고자 하는 학생을 위한 안테나 공학 기본과목이다. 안테나의 해석과 설계는 물론 전송선로, 전자파, 전자파의 전파 등 안테나와 관련된 주제를 빠짐없이 다루며, 안테나 설계 시 사용하는 주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최신 안테나의 종류, 안테나 측정용 장비와 설비, 안테나 성능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안테나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다양한 유형의 안테나를 해석, 설계, 측정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전자회로II(Electronic Circuits II) 3-3-0-0
MOSFET의 기본 동작원리에 대해 배우고 증폭기회로를 해석하기 위한 DC 등가회로, AC 등가회로를 추출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BJT와MOSFET를 이용한 단일단 집적회로 증폭기에 대해 다루고, 설계할 수 있게 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시스템설계(Microcontroller System Design) 3-3-0-0
AVR RISC 마이크로컨트롤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기전자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설계된 하드웨어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한 과목이다.
PLC&네트워크II(PLC&NetworkII) 3-3-0-0
취업 강의를 위한 반도체 장비 및 포장설비, 사출기 등의 개발을 위한 모션제어를 중심으로 강의한다. 모션제어는 PLC 및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응용으로 국내 산업계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분야이다. 이 모션 제어에 부가적으로 중요한 산업 솔루션으로 안전도와 에너지 저감을 강의한다.
디지털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3-3-0-0
신호처리의 기본 개념인 필터링과 주파수 분석을 중심으로 FIR, IIR 필터와 필터 설계 기법을 공부하며, 음성, 영상, 통신 등의 응용 분야에서 신호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학습한다.
반도체공학(Semiconductor Engineering) 3-3-0-0
물리전자를 이수하고 반도체 소자( Diode, MOSFET, CMOS, FinFET, Flash memory) 등을 이해하기위해 강의 주교재는 Solid State Electronic Devices(영문원서,Ch 5 이후)와 부교재로 영어로 제작된 PPT 자료를 활용하여 실전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통신이론(Communication Theory) 3-3-0-0
통신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을 강의하고, 각 구성 요소에 대한 통신 신호의 수학적 표현식을 유도하고, 통신 신호 및 시스템 성능의 분석 방법을 강의한다.
모바일프로그래밍I(Mobile Programming II) 1-0-2-0
Python 언어를 습득하고, Tensor flow 툴 사용법을 익히고, 간단한 기계학습 코드를 실습한다.
종합설계II(Capstone design II) 3-0-0-3
재학기간동안 습득한 전자공학 이론과 지식을 기반으로 졸업작품을 설계하고 제작한다.
DSP응용(DSP Applications) 3-3-0-0
디지털신호처리에서 학습한 이론을 실제 응용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학습한다.FIR, IIR 필터와 필터 설계 기법을 공부하며, 음성, 영상, 통신 등의 응용 분야에서 신호처리기법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학습한다.
의용전자공학(Medical Electronics) 3-3-0-0
의공학(midical engineering)이란 의학과 공학의 협동적인 학문으로 공학적 원리와 방법을 임상의학분야에 적용, 의학분야에서 일어나는 현상 및 사실을 공학적인 방법으로 탐구하고 이를 임상적 진료에 응용하는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전자, 전기, 제어 공학의 기초 지식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체의 특성, 생체 전위의 발생 기전, 대표적인 생체 신호 중의 하나인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ph)와 근전도(Electromyograph), 의료기기, 초음파, 전기 안전성 등 생체 계측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마이크로파공학(Microwave Engineering) 3-3-0-0
마이크로파공학의 기본이론과 관련 소자에 대해 학습한다. EM theory와 전송선로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마이크로파공학에서 사용되는 전송선로인 Microstrip Line 등을 다룬다. 마이크로파공학의 Networkparameter와 Impedance matching에 대해 학습한다.
컴퓨터네트워크(Computer Network) 3-3-0-0
본 교과에서는 인터넷의 근간이 되는 컴퓨터 네트워킹의 동작 원리 및 설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네트워크의 성능향상을 위한 다양한 이론을 상세히 다룬다. 특히 TCP/IP 프로토콜과 인터네트워킹에 관한 개념과 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광전공학(Optoelectronic Engineering) 3-3-0-0
광전자공학은 현대물리, 반도체공학의 복합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학문 분야로써 광 응용 분야인 광통신, 발광소자, 수광소자,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LCD , OLED, micro LED)를 이해하고 실전 활용을 목표로 영어 혹은 일어로 제작된 강의노트를 활용한다.
미디어시스템(Media system) 3-3-0-0
미디어의 응용 장비와 저작도구에 대한 이해, 구성에 대한 이론학습 및 종합적 접근방법과 화상과 음성 데이터의 File 작성법과 응용법 학습을 한다.
센서네트워크(Sensor Network) 3-3-0-0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이해하고, 무선센서네트워크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위한 PHY, MAC, NET의 핵심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인공지능개론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 3-2-0-1
인공지능의 개요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대표적인 공학기술인 기계학습을 matlab, visual studio 혹은 tensorflow와 같은 프로그래밍 툴을 이용하여 이해하고 실습한다. Logistic regression, classification 기초 원리를 이해하고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습한다.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deep learning을 이해하고 실습한다.
FPGA기반 디지털시스템설계 (FPGA-based Digital System Design) 3-0-0-3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HDL)를 습득하고, 컴퓨터와 FPGA 교육용 kit를 활용하여 설계 및 구현하여 디지털 시스템 설계 능력을 배양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공부하기 위한 선수과목으로 CPU의 구조를 이해하고 기본적인 명령어를 활용하여 CPU를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통신네트워크 및 프로그래밍 (Communication Networks & Programming) 3-2-0-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지식을 익히고, 소켓 기반의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실습, 설계, 개발한다.
집적회로설계 (Integrated Circuits Design) 3-2-0-1
디지털 시스템 내부에 사용되는 디지털 CMOS 집적회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디지털 집적회로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디지털공학 (Digital Engineering) 3-3-0-0
디지털 소자를 이해하고, 조합/순차 디지털 논리 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
전기회로이론 (Electric Circuits Theory) 4-4-0-0
전기회로의 기본적인 변수들과 전기소자를 이해하고, 선형회로에 적용되는 개념과 원리 및 법칙을 학습한다. 수동소자 변수들로 구성된 전기회로와 입력 전원 종류에 따른 전기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C프로그래밍 (C Programming) 3-2-2-0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인 C언어의 기본 문법을 익히고, 전기전자제어공학에 필요한 자료구조를 학습한다.
공학수학 및 연습 (Engineering Mathematics & Practice) 4-4-0-0
공학에 필요한 수학적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응용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센서 및 메카트로닉스 (Sensor & Mechatronics) 3-3-0-0
센서(적외선, 초음파 등)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실습을 병행하여 센서 활용능력을 배양한다. 메카트로닉스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메카트로닉스 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계공학, 센서공학, 구동기, 구동시스템, 수학적 모델링 및 하드웨어 구현 방법을 학습한다.
전기회로설계 및 응용 (Electric Circuits Design & Application) 3-0-2-2
R, L, C로 구성된 다양한 회로의 해석 방법을 학습하고, 실험 결과와 시뮬레이션 툴에서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전기회로 설계 능력 배양한다.
C알고리즘 및 응용 (C Algorithm & Application) 3-2-0-1
C언어를 기반으로 공학 응용을 위한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에 대한 학습을 한다.
전자회로이론 (Electronic Circuits Theory) 4-4-0-0
전자회로의 기본구성 요소인 다이오드, BJT, FET를 이해하고 이를 응용한 증폭기 등의 회로를 설계한다.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기본 동작원리와 전자회로 해석 방법에 대해서 학습함으로써 전자회로의 설계 및 분석 방법에 대한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제어특강 I (Control Special Lecture I) 1-1-0-0
전기전자제어공학을 통하여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학생들에게 알려준다.
C++프로그래밍 (C++ Programming) 3-2-0-1
기본 객체지향 프로그램 언어인 C++언어의 기본 문법을 학습한다.
제어특강 II (Control Special Lecture II) 1-1-0-0
전기전자제어공학분야 저명인사 특강을 통해 진로 및 취업방향 설정을 돕는다.
임베디드하드웨어설계 및 실습 (Embedded H/W Design & Practice) 3-2-0-1
ATmega128를 이용한 전자시스템 설계 능력과 전자시스템에 적용할 전자기기와 ATmega128 레지스터들의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전자시스템 프로그램을 위한 C언어 설계 능력과 STM32F103(Cortex-M3)의 기본 기능 이해와 요소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C# 프로그래밍 (C# Programming) 3-2-0-1
모니터링 및 운영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C# 프로그래밍의 기본 문법, 개념, 파일 등을 학습하고, 예제 프로그램 작성실습과 프로젝트를 통하여 c#프로그래밍 실력을 배양한다.
Java 프로그래밍 (Java Programming) 3-2-0-1
기본 객체지향 프로그램 언어인 JAVA언어의 기본 문법을 익히고, JAVA/Android와 같은 최신 응용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운다.
창의종합설계 I (Creative Capstone design I) 3-0-0-3
학부과정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하나의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 결과 발표 등의 전체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여 취업시 현업에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전공 역량을 습득한다. 창의적인 종합설계 능력을 가진 엔지니어 양성을 목표로 한다.
창의종합설계 II (Creative Capstone design II) 3-0-0-3
작품 선정, 설계 기획, 부분 설계, 종합 설계, 제작, 결과 발표 등의 전체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여 현업에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요소/공정 설계, 팀 협력 작업, 결과 발표 역량을 습득한다. 창의적인 종합설계 능력을 가진 엔지니어 양성을 목표로 한다.
SOC 설계 (SOC Design) 3-2-0-1
FPGA기반의 SOC에 대해서 이해하고 이 SOC를 이용해서 다양한 디지털시스템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PLC프로그래밍실습 및 응용 (PLC Programming Practice & Application) 3-2-0-1
PLC 개요와 구조 및 운영 소프트웨어와 PLC 입출력 연결 방법 이해한다. PLC 기본 명령어를 통한 PLC 기초 프로그램과 PLC 고급 명령어를 활용한 응용 프로그램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아날로그및통신회로 설계 (Analog & Communication Circuits Design) 3-2-0-1
아날로그 회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아날로그 회로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유/무선 통신 회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통신 회로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운영체제 및 데이터베이스 개론 (Introduction to OS & Database) 3-3-0-0
운영체제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고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빅데이터 분석개론 (Introduction to Big Data Analysis) 3-3-0-0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수학적 방법론과 프로그래밍 모델을 배운다.
확률 및 랜덤프로세스 (Probability & Random Process) 3-3-0-0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자료의 분석 및 처리를 위한 통계적 분석 기법, 확률론적 해석법, 랜덤 과정, 통계적 추정 등을 학습한다.
기계학습개론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3-3-0-0
기계 학습에 대한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매트랩 실습으로 적용한다.
전자회로설계 및 응용 (Electronic Circuits Design & Application) 3-0-2-2
OP-Amp 기본 원리 및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한 회로에 대한 해석 및 설계 능력을 학습한다. 전자회로의 기본 소자인 다이오드, 바이폴라접합트랜지스터, FET 및 OP-Amp 등의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OP-Amp 등으로 구성된 전자회로에 대한 회로 구성, 해석, 측정, 평가 및 요소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제어공학 (Control Engineering) 3-3-0-0
제어공학의 해석 및 분석을 위한 기초 수학을 배우고, 제어 플랜트를 모델링하는 방법, 제어시스템을 수학적으로 또는 모의실험을 통해서 해석하는 방법, 제어시스템의 성능을 시간영역에서 해석하는 방법,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의 개념 및 다양한 안정성 판별법 등을 다룬다.
제어시스템설계 (Control System Design) 3-3-0-0
제어시스템 안정성 판별법, 주파수 영역에서의 특성해석 및 제어기 설계법, PID제어기 설계법, 상태공간에서의 시스템 해석 및 제어기 설계법, 디지털 제어기 설계방법,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법 및 적용 등에 관하여 다룬다.
마이크로컨트롤러시스템설계 (Microcontroller System Design) 3-3-0-0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기본적인 이론과 명령어에서 80196을 중심으로 내부구조 및 명령어를 학습한 후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영상처리 (Image Processing) 3-3-0-0
다양한 입력 매체로 부터 얻어진 디지털 영상을 화소단위 처리, 영역처리, 기하학적 처리, 프레임리, 필터링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선, 변형/변환, 복원, 분석, 인식, 암호화, 압축, 워커마킹 등의 목표를 달성하는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을 학습한다.
데이터통신 (Data Communication) 3-3-0-0
통신기술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은 매우 중요한 분야로 다양한분야의 상품 개발에 쓰이고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통신에 대한 기본 원리 및 구조, 실생활에 사용되는 표준안에 대한 기술과 개념 및 기본적인 통신이론에 대한 이해를 수업 목표로 한다.
신호처리 (Signal Processing) 3-3-0-0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관계, 디지털 신호 변환이론, 컨벌류션, 필터 등 핵심 DSP 이론을 요약한다. 신호 중 가장 관심의 대상인 영상신호처리의 이론과 응용분야를 학습한다. 기초 수학적 개념의 이해, 디지털 정보변환이론, 컨벌류션, 필터, 영상향상, 영상분할, 최신압축이론 등 핵심 영상처리이론을 요약하고 처리된 결과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론과 실무능력을 함께 갖출 수 있도록 한다.
광학개론 (Introduction to Optics) 3-3-0-0
전자기파로서의 빛이 가지는 간섭, 편광, 회절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다룬다. 먼저 전자기파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고 이로부터 파의 전파양식, 파의 벡터적인 성질을 학습한다. 호이겐스 원리, 페르마 정리등 빛의 전파에 대한 이론의 발전단계와 적용 상황을 이해한다. 또한 물질 속에서의 빛의 전파양식, 굴절율, 분산 등의 개념을 이해하여 빛을 이용하는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이러한 기초적인 이론을 배경으로 기하광학의 영역인 카메라 렌즈, 거울 등의 작동원리와 이를 활용한 응용분야를 소개한다.
광신호처리 (Optical Signal Processing) 3-3-0-0
광학적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광신호의 생성 및 전파, 그리고 관련 신호처리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 털 영상처리의 기법에 광신호 시스템 모델을 적용한 응용분야에 이해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실용적인 모의환경을 구축하여, 실제 광신호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광학 신호처리 이론을 시뮬레이션하고 이해한다. 강의 후반부엔 습득한 광학지식과 광신호 시스템의 모델링 방법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신호처리시스템을 설계한다.
로봇시스템 (Robot System) 3-3-0-0
로봇의 대표적인 모델인 머니퓰레이터의 기구학, 역학, 궤적, 제어에 대한 내용과 함께, 이동로봇에 대한 기구학, 주행 등을 내포한다. 또한 로봇의 입력기관인 각종 센서에 대한 특징과 사용법에 대한 소개 및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대한 부분도 다룬다.
공학설계입문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2-0-0-2
공학도의 기초적인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공학설계의 의미와 접근 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공학적 설계를 위하여 고려할 문제와 해결 방법을 학습한다.
공학설계활용 (Application to Elementary Design of Engineering) 2-0-0-2
공학도의 기초적인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공학설계의 의미와 접근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공학적 설계 활용에서 고려 할 문제와 해결방법을 학습한다.
전자기학 I (Electromagnetics I) 3-3-0-0
전기와 자기의 기초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1학기의 정전계 및 전위의 기본식의 이해를 토대로 Maxwell방정식 중 자계에 관한 식을 다루게 되며 총합적으로 Maxwell방정식을 이해하고 그 물리적 의미와 현상들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게 되어 전기와 자기의 연관성 및 전자파로 이어지는 일련의 현상들을 규명하는 기초원리를 학습한다.
현장실습 Ⅳ (Field Training Ⅳ) 4-0-4-0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전공과 관련된 산업현장에서 일정기간 동안 현장실습을 통하여 현장실무 적응능력을 기른다.
공업교과 논리 및 논술 (Logics and logical writing in industrial curriculum) 3-3-0-0
논문 및 문서의 분석방법 및 논술기법을 배우고,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방법론에 관하여 배운다 (교직이수자에 한하여 수강할 수 있음).
공업교과교재 및 연구법 (Education materials and research methods in industrial curriculum) 3-3-0-0
공학에서 많이 필요로 하는 실험에서 필요한 실험기자재 및 교재의 종류, 사용법, 교수방법 등에 관하여 배우며,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실험 운영 방법에 관하여 습득한다.
공업교과교육론 (Education materials and research methods in industrial curriculum) 2-2-0-0
교육학에서 다루는 교육기법 및 교육이론을 공학적으로 적용하는 방법과 공학 교육의 목적, 내용 및 특성에 관하여 배운다.